분류 전체보기 77

신민주의 브래지어 안 하면 어때서 (1)악성댓글과의 전쟁

유튜브에 올린 날짜: 2020. 1. 17. 신민주 씨는 2019년 6월경 평상시 브래지어를 안 입고 생활하는 사람으로 경향신문과 인터뷰를 했고 인터뷰의 내용이 유튜브에 공개 되었다. 그 유튜브 동영상을 둘러싸고 수많은 댓글들이 달렸고, 그중 다수는 욕설과 외모비하였다. 브래지어 안 했다는 게 큰 문제인가? 그걸 밝혔다는 게 큰 문제인가? 참 이상한 세상에 대한 신민주 씨의 생각을 들어봤다. 기획: 양희석 출연: 신민주 편집: 양희석

패치워크 2020.10.01

형벌이 아닌 돌봄, 간병할 자유 feat. 아빠의 아빠가 됐다

커넥티드의 안효상입니다. 조기현의 책 는 아빠가 갑자기 쓰러져 보호자가 되고, 돌봄을 고스란히 떠맡은 스무 살의 청년이 말 그대로 절망하면서, 더욱 가난으로 떨어지면서 돌봄을 형벌처럼 느끼면서도 자신과 세상에 대해 눈길을 놓지 않았기에 나온 글입니다. 돌봄이 형벌이 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의 일부일 수 있고, 돌봄을 받는 사람도 돌봄을 하는 사람도 동등하고 자유로운 시민으로 어떻게 살아갈 수 있는지 우리 모두의 숙제입니다. 미국의 흑인 시인 랭스턴 휴즈는 “사람들이 당신을 돌보고, 당신을 위해 울 때, 그들은 당신의 영혼을 맑게 해준다”라고 말합니다. 의 저자인 기현은 작은 보트 하나에 의지해서 호랑이와 사람이 망망대해를 표류하는 영화 장면을 떠올리며 “호랑이가 없었다면 난 지금쯤 죽었을 것이다. 난..

커넥티드 2020.10.01

기본소득은 권리다

유튜브에 올린 날짜: 2020. 1. 13. 일하지 않아도 국가로부터 월급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나에게 있을까요? 일자리 구하기가 어렵고 궁핍한 생활이 지속돼도 남의 돈을 그냥 달라고 하거나 뺏을 수는 없습니다. 국가에게 기본소득을 요구하고 받으려면 내가 그럴 권리가 있어야 가능한 것이지요. 알래스카에서 지급하는 영구기금배당, 스위스에서 지급하는 탄소세 배당제도가 그 이유를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기본소득은 공유자원에 기반한 공통부의 권리이며 헌법에 입각한 우리 모두의 권리입니다. 기획: 강인성 음성: 이은영 편집: 강인성

6분 기본소득 2020.10.01

시리아난민 진료소 의사가 본 브렉시트와 이민 문제 & 영국 냉동트럭 비극

유튜브에 올린 날짜: 2020. 1. 10. 커넥티드의 안효상입니다. 프랭클린 루스벨트는 ‘나의 동료 이민자들’이라는 연설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기억하세요, 항상 기억하세요, 우리 모두, 특히 여러분과 나는 이민자와 혁명가 들의 후손이라는 것을.” 2019년 12월 12일에 있었던 총선에서 강경 브렉시트 파인 보리스 존슨이 이끄는 보수당이 승리를 거두면서 이제 “브렉시트는 브렉시트다”라는 말이 현실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또 다른 현실인 것은 지금 이 시간에도 수많은 사람들이 더 나은 삶과 미래를 위해 국경을 넘고 있다는 것입니다. 브렉시트가 상징하고 트럼프가 멕시코 국경에 세운 장벽이 체화하고 있듯이 국경을 넘는 일이 언제나 더 나은 삶과 미래를 보장하지는 못합니다. 도리어 그 반대가 현실입니다. 20..

커넥티드 2020.10.01

스쿨미투 양지혜, CNN이 주목한 “아시아 변화시킨 청년 운동가” - 청소년 페미니스트 네트워크 위티 공동대표를 만나다

유튜브에 올린 날짜: 2020. 1. 7. 커넥티드의 안효상입니다. 캐나다 시인이자 소설가인 마가렛 애트우드는 "남자들은 여자들이 자신들을 보고 웃을까 두려워한다. 여자들은 남자들이 자신들을 살해하지 않을까 두려워한다"라고 말합니다. 오늘날 한국은 말할 것도 없고 전 세계적으로 여성에게 가해지는 다양한 폭력과 폭력의 위협을 보면서 애트우드의 말을 실감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런 상황에 맞서 유엔 여성차별철폐협약은 2017년 일반권고를 통해 '여성에 대한 젠더에 기반한 폭력'이라는 개념을 천명하고, 여성에게 주로 일어나는 폭력이 성별 체제, 장애, 국적, 인종, 성적 지향 등에 기초하여 차별을 만들어내는 사회 구조에 있다는 것을 드러내고자 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여성에 대한 폭력 그 가운데에서도 성폭력은..

커넥티드 2020.10.01

실패의 두려움을 없애는 기본소득

유튜브에 올린 날짜: 2020. 1. 6. 소득인정액 0원, 월세·전기세·가스비 16개월 체납, 1만 원대 건보료 17개월 체납. 관악구 탈북 모자가 사망한 지 두 달 만에 자택에서 발견되었을 때 파악된 상황입니다. 절대적으로 빈곤한 상황에 놓였지만 주민센터도, 복지사각지대 발굴시스템도 탈북 모자를 구하지 못했습니다. 결국 집안에 먹을 것 하나도 남지 않은 상태에서 아사로 추정되는 죽음을 맞았습니다. 2014년 송파 세 모녀 자살 이후 5년 만에 일어난 일입니다. 송파 세모녀 자살 사건을 계기로 복지사각지대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 많은 보완 대책이 나왔지만 여전히 가난으로 인해 죽음에 내몰리는 사람들이 있고 구제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복지제도가 이렇게 공정하지 못한 이유가 뭘까요? 기획: 강인성 음성: ..

6분 기본소득 2020.10.01

나는 1월1일이 싫다 I hate New Year's Day

유튜브에 올린 날짜: 2020. 1. 3. 난 1월 1일이 싫다. 매일 아침, 쏟아지는 햇살을 맞으며 일어날 때마다,이게 나에게는 1월 1일이라고 느껴진다. 그게 내가 고정된 만기일처럼 도래하는 1월 1일을 싫어하는 이유다. 이는 삶과 인간의 정신을 최종적으로 깔끔하게 맞춰진 균형,미결 금액, 새로운 경영을 위한 예산 등이 있는 상업적 관심으로 바꾼다. 1월 1일은 우리로 하여금 삶과 정신의 지속성을 상실하게 만든다. 우리는 진지하게 한 해와 다음 해 사이에 단절이 있다고, 새로운 역사가 시작되고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 결심하고, 지키지 못한 결심을 후회하고 등등. 이것이 일반적으로 날짜를 가지고 잘못 생각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연대기가 역사의 근간이라고 말한다. 좋다. 그러나 우리는 또한 모든 선량한 ..

패치워크 2020.09.30

기본소득을 주면 더 많이 일하게 된다고??

유튜브에 올린 날짜: 2019. 12. 30. 공짜 돈을 주면 게을러진다고요? 기본소득을 주면 도덕적으로 해이해지고 일하지 않을 거라는 비판이 있습니다. 하지만 대표적인 선별복지제도인 실업급여, 기초생활보장급여를 받는 사람보다 기본소득을 받는 사람이 더 많이 일하게 됩니다. 왜 그럴까요? 실업급여를 받는 사람, 기초생활수급자, 일반 직장인의 사례를 보면서 그 이유를 확인해 보죠. 기획: 강인성 음성: 이은영 편집: 강인성

6분 기본소득 2020.09.30

폭설 내린 날, 어느 산골 마을에서

유튜브 올린 날짜: 2019. 12. 27. 폭설이 내린 어느 날. 방문을 열고 나온 아이는 마당 앞에 펼쳐진 하얀 세상에 놀랐습니다. 난생 처음 본 눈으로 덮인 하얀 세상. 아이에게 이 하얀 세상은 어느새 놀이터가 되었습니다. 눈을 치우는 것도, 푹푹 빠지는 눈밭도, 아빠가 만들어준 바구니 설피도 모두 재미있는 놀이가 되었습니다. 할머니의 짐을 썰매에 싣고 읍내로 나가는 길. 아이는 새롭게 펼쳐질 세상에 대한 호기심으로 찬바람을 이겨내고 길을 나섭니다. 기획: 양희석 사진: 양희석 음성: 류증희 편집: 양희석

패치워크 2020.09.30

청년 당원 90% 기본소득당, 청년팔이 정치를 뛰어넘을 수 있을까?

유튜브에 올린 날짜: 2019. 12. 25. 지난 21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위성정당이었던 더불어시민당 후보로 출마해 국회의원이 된 용혜인 씨 인터뷰. 2019년에 찍은 영상이라 당시에는 기본소득당 대표였습니다. 기본소득이라는 새로운 의제를 내걸고 21대 총선에 도전한다 하여 인터뷰를 했으나... 용혜인 씨는 기본소득당 탈당하고 위성정당 소속으로 국회 진출했고, 정작 기본소득당은 비례 후보를 내지 않았습니다. 기본소득당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은 기본소득당에 정당 투표를 할 수 없었고요. 이제 와서 다시 보니, 10~30대 청년 당원의 비중이 무려 90%에 달한다며 새로운 정치를 표방했던 그들의 행태가 결국에는 구태의연한 기성 정치인 못지 않음을 드러내 줍니다. 기획: 안효상 출연: 안효상, 용혜인 촬영..

커넥티드 2020.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