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넥티드의 안효상입니다.
프랑스 작가 롤랑 바르트는 ‘문학은 어디로 가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전에 “문학을... 사회성의 범주 속에” 놓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다시 말해 문학은 “한정된 사회 내에서 이루어지는” “온갖 실천과 가치의 총체”라는 것입니다.
영국 작가 조지 오웰은 ‘나는 왜 쓰는가’라는 매우 직설적인 글에서 “좋은 산문은 유리창과 같다... 내가 맥없는 책들을 쓰고, 현란한 구절이나 의미 없는 문장이나 장식적인 형용사나 허튼소리에 현혹되었을 때는 어김없이 ‘정치적’ 목적이 결여되어 있던 때이다”라고 고백합니다.
모두 글쓰기의 의미와 사회적 책임에 관한 말들입니다.
오늘은 다양한 주제를 다루면서 이런 글쓰기의 의미와 사회적 책임을 다하려는 오준호 작가와 만났습니다. [세월호를 기록하다], [기본소득이 세상을 바꾼다], [기본소득 쫌 아는 10대], [평등, 헤아리는 마음의 이름] 등의 책을 쓴 오준호 작가와 세월호, 기본소득, 평등에 관한 이야기를 나눠볼까 합니다.
기본소득 일타 강사로 이름을 떨치고 있는 오준호 작가. 그가 기본소득과 평등에 꽂힌 이유는 뭘까요? 사람들이 그의 강의를 찾는 이유는 또 뭘까요?
[세월호를 기록하다] 자세히 보기: http://aladin.kr/p/a6z5Y
세월호를 기록하다
세월호 재판의 법정 기록이며, 법정 기록을 바탕으로 세월호 사고를 재구성한 결과물이다. 또한 이 책은 무엇보다도 객관적인 사실 관계를 밝히는데 초점을 두고 정리한 책이기도 하다. 저자는
www.aladin.co.kr
[기본소득이 세상을 바꾼다] 자세히 보기: http://aladin.kr/p/4JM7c
기본소득이 세상을 바꾼다
사람들은 흔히 “공짜로 돈을 주면 사람들이 게을러지고 일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곤 한다. 그러나 이런 생각은 실제로 기본소득을 지급했을 때 사람들이 노동을 그만두지 않았던 사례
www.aladin.co.kr
[기본소득 쫌 아는 10대] 자세히 보기: http://aladin.kr/p/de52J
기본소득 쫌 아는 10대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운영위원으로 활발히 활동하며 2017년 <기본소득이 세상을 바꾼다>를 펴낸 오준호 작가가 자라나는 세대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고자 그간의 깊어진 연구 자료를 자신��
www.aladin.co.kr
[평등, 헤아리는 마음의 이름] 자세히 보기: http://aladin.kr/p/x2tu1
평등, 헤아리는 마음의 이름
이름앤솔러지 1권. 평등은 흔히 언급되지만, 대한민국 청소년 도서 중 ‘평등’을 독자적으로 다룬 책은 없다시피 하다. 20여 년을 평등과 청소년의 곁에 있던 저자 오준호는 불행 배틀을 벌이는
www.aladin.co.kr
기획: 안효상
출연: 안효상, 오준호
촬영: 미디어 데모스
편집: 류증희
'커넥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만큼 무서운 가짜뉴스 – 누가 우물에 독을 풀고 있나? (0) | 2020.10.02 |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새로운 국면으로 - 지역사회 감염과 대처 방안 (0) | 2020.10.02 |
배달의민족, 계약할 땐 사장님 일 시킬 땐 근로자? (0) | 2020.10.01 |
메르스 사태와 비교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 총정리 (0) | 2020.10.01 |
아메리카노가 아니라 카푸치노~ 기본소득 받고 플렉스 Flex 해버렸지 뭐야 (0) | 2020.10.01 |